본문 바로가기

필기노트

20241030_조향세미나_Woody

우디 노트
ㄴ 크게 Cedar wood, Sandal, Vetiver, Patchouli (+Oud)로 나뉨

 

우디는 단순히 나무의 향인가?
소비자는 베티버, 샌달, 시더 등의 나무를 구분할 수 있는가? >> 글쎄...

 

 

Oud / Agarwood (Wood)

오우드 천연
- 메탈릭, 프레쉬, 애니멀릭한 향이 동시에 느껴짐.
- 나무에 상처를 낸 후, 거기서 나오는 흰색 물질을 바탕으로 함.
- 산지마다 향이 다름. 

 

 

Cedar(Wood)

시더우드 천연
- 케미컬과 천연 향료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케미컬의 향이 약함.
- 가장 저렴한 향료 // 추출 방식에 따라 버지니아와 아틀라스로 나뉨. (아틀라스의 경우 파인향이 좀 더 강한 편)
- 가구, 톱밥, 연필심 등의 향이 나며 소비자들이 우디한 향을 인지하기 가장 쉬움. -> 그만큼 저렴한 mood가 날 수 있음

 

Iso E Super (케미컬)
- 우디한 노트에서 느낄 수 있는 거친 질감만 주는 케미컬
- 상대적으로 향이 약함

 

Vertofix (케미컬)
- 베티버 섞인 우디. 가죽 느낌을 냄. (무겁고 젖은 흙 같은 뉘앙스가 있음)
- 다소 올드한 mood를 냄. 니치향수에서많이 사용함

 

 

Sandal (Wood)

샌달우드 천연 (2026년 부터 알러지 물질로 들어감!)
- 천연은 크게 인도산 호주산으로 나뉨.
- 천연이 비싸 내추럴 향료를 사용하기 어려움. 케미컬이 비슷한 볼륨을 구현할 수 있어 케미컬을 더 많이 사용함
- 부드럽고 크리미한 질감을 냄. 상대적으로 무겁고 풍성한 향 -> 단일로는 우디 노트라고 인지할 수 있는 향을 만들기 어려워 시더우드를 메인으로 샌달우드를 보충하는 식으로 구성하기도 함.

 

Bacdanol (케미컬)
- 부드럽고 천연에 비슷한 느낌을 줌. (타 케미컬에 비교하면 가장 거친 느낌.)
ㄴ Sandalroe와 비슷한 느낌.

 

Ebanol (케미컬)
- 프레쉬하고 라이트하게 향을 올릴 수 있음. (무거운 노트에서 가벼운 향을 구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쌈!!)

 

Polysantol (케미컬)
- 실마워 등에 사용되는 케미컬. 가장 비쌈. 우디노트면서 동시에 확산성이 좋음.

 

Patchouli (Leaf / 천연)

- 최근 니치 하우스에서 많이 활용하는 향.
- 스파이시 우디. 오리엔탈한 느낌. (한약방 냄새)
(* 대개 오리엔탈한 느낌을 준다고 표현하는데... 대개 이런 표현은 서구권에서 넘어왔기 때문에 동양인 입장에선 뭐래...가 됨. 우리가 표현할 수 있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.)
- 로즈와 궁합이 좋음. 향을 날카롭게 만들 수 있음.

 

Vetiver(Root/천연)

- 파우더리한 노트와 조합하는 경우가 많음.
- 단일로 쓰기에는 축축하고 젖은 흙 향이 나기 때문에 이 노트 자체가 메인이 되는 일은 적음. (선호도가 없으니까...)
- 주로 베티버가 가진 이미지만 가져다 사용하는 일이 잦다.
- 주 조합은 통카(파우더리한 향) 혹은 레더리에 포인트를 주는 식으로 사용함. (가죽은 탑, 베티버가 베이스의 느낌으로.)
ㄴ 통카 : 꼬숩고... 약간 콤콤한 느낌을 주는 포슬포슬 파우더리.

 

Methyl Ionone (케미컬)

- 우디 플로럴. / 벨벳스러운 느낌을 줌.
- 보통 바이올렛과 함께 사용함.
- 타 케미칼과 함께 사용해서 볼륨감을 넣는데 이용.

 

Woody+a

-시트러스 : 남성용 향수에 주로 사용. 가장 무난한 픽. (남성용 향수는 주로 시트러스 아쿠아 혹은 시트러스 우디로 나뉨)

- 프랑킨센스=올리바넘 : 샤프한 느낌을 줌. 시트러스하면서 우디한 무드를 주지만 훨씬 유니크한 느낌을 줌.

- 넛맥 : 그리너리 하면서 스파이시하고 우디한 느낌을 잘 나타냄. 시트러스와 우디와 잘 어울리는 향.

- 랍다넘 : 식물인데 동시에 애니멀릭한 느낌을 줌. 앰버스럽고, 약간 가벼운 느낌.

- 통카 : 천연, 파우더리, 꼬소~~ 습기가 없는 건조한 질감을 줌.

- 우디와 앰버 조합은 거의 필수적. 머스크도 권장됨.

 

만약 향을 제조한 뒤, 나무같은 향이 나지 않는다면 시더우드 오일을 사용하자.
제작방향을 은은(샌달)하게 할지, 혹은 질감(시더)을 살릴지 이 사이에서 선택할 필요가 있음
대표적인 예시로 상탈33의 경우,  시더 케미칼, 샌달 케미칼을 사용하고 거기에 시더우드 오일을 집어넣음
향의 절대 강도를 알자. 내가 아는 것과 소비자(db가 없는 사람들)이 느끼는 것의 차이를 잘 판단해야함.

 

QnA

소비자는 스윗한 향을 훨씬 잘 느낌. 조심스럽게 쓰자. (코코넛과 피그 등...)
디퓨저는 독하다고 느낄 정도로 만들어야 리드를 꽂았을 때 발향/확산 됨. 공간 향과 분사 향의 접근 방식 자체가 다름.